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(WCU) 육성 3차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다녀와서
2010년도 WCU신규사업 관련 의견
K A I S T
[IT(SW)분야]연구실적 평가기준
문제점
* 논문 인정: IT(SW)분야에서는 상위 conference 논문의 중요성이 SCI(E)논문보다 더 높은 경우가 많음 (피인용 회수 기준 근거 자료 있음)
* 피인용 횟수 기준: 동 분야에서 conference 논문으로부터의 인용을 제외한 저널 논문간의 피인용 회수만을 고려하는 것은 실제 개인의 학문적 영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
* 논문 및 피인용 횟수 인정 기준: 실험, 개발을 해야 하는 이공계의 특성상 거의 모든 연구는 학생이 공저자로 들어가며 일반적으로 주저자는 학생으로 하고 교신저자도 편의상 학생으로 지정하는 경우가 많음. 따라서 1/N 인정은 불합리함.
구 분 | 현재 WCU평가기준 | 개 선(안) |
논문 인정 | - 학문분야별 상위 10%저널에 게재한 1인당 논문수(총논문수/총참여자수) | - 학문분야별 상위 10%저널에 게재한 1인당 논문수(총 편수/학생 제외 참여저자 수) - 학문분야별 상위 10% conference에 발표된 논문수(총합=논문별1/학생 제외 참여저자수) |
피인용 횟수 기준 | - SCI(E), SSCI, A&HCI 및 SCOPUS급에 수록된 최근 5년간 논문의 피인용 횟수(피인용횟수 총합/총 참여교수 수) | - 게재된 모든 논문 (저널 및 conference)의 최근 5년간 피인용 횟수(피인용횟수 총합/학생 제외 참여저자 수) - IT(SW)분야의 경우 Microsoft Academic Search 나 Google Scholar의 통계 이용 |
논문 및 피인용 횟수 인정기준 | - 공동논문의 경우 참여교수가 주저자, 교신저자인 경우 1건당 0.8건으로 인정하고 기타공동저자일 경우 1/N건으로 인정 | - 공동논문의 경우 학생 외 참여저자수가 없는 경우 1건당 0.8건으로 인정하고, 학생외 참여자가 있는 경우 1/학생 제외 참여저자 수+1 |
저널 편집위원 | - SCI(E), 의 저널 편집위원 (editor, editorial board member) 경력 증빙 자료 (위원명이 명시되어 있는 저널별 Hard Copy사본 또는 저널 출판 기관에서 발행한 증명서 등) 제출 (Guest editor 경력은 실적으로 불인정) | - 학문 분야별 상위 10% conference의 technical program chair 및 area chair 혹은 이에 상응하는 경력 증빙 자료 (위원명이 명시되어 있는 conference proceedings 명단 hard copy, conference web site 주소, 기관에서 발행한 증명서 등) 제출 (Executive committee 경력은 실적으로 불인정) |